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리오네트(Marionett)-꼭두각시

by 문화과학자 2025. 3. 23.
반응형

마리오네트(Marionette): 역사, 의미, 그리고 현대적 활용

 

목각 연형의 관절 마디마디를 전선이나 끈을 묶어 움직이도록 조종하는 인형인 마리오네트는 사람이 조종해야 움직일 수 있으며, 실물과 같은 방식으로 움직이는 매우 특정한 종류의 인형입니다. 이것은 조종줄에 부착된 끈이나 실을 통해 위에서 조작하는 유형의 인형이지만 간단한 마리오네트에서 끈은 각 다리, 손, 어깨, 귀, 척추 기저부 등 9곳에 부착됩니다.

1. 마리오네트(Marionette)란?

마리오네트는 실로 조종하는 인형극을 의미하며, 줄인형이라고도 불립니다. 흔히 나무를 위주로 만든 인형에 줄을 달아 조종하는 꼭두각시 인형을 말합니다. 프랑스어 ‘Marionette’에서 유래한 단어로, 손과 발에 연결된 줄을 이용해 조종자가 움직임을 조작하는 방식입니다.

 

‘Marionette’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작은 마리아(Maria)를 뜻합니다. 중세 시대에 프랑스에서는 성경 속 사건을 묘사하기 위해 끈 인형이 자주 사용되었는데, 그중 성모 마리아는 인기 있는 캐릭터였기 때문에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이처럼 중세 유럽에서 성모 마리아를 본뜬 인형극이 유행하면서 ‘마리오네트’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마리오네트라는 단어가 모든 종류의 꼭두각시를 지칭하지만 다른 곳에서는 끈 인형만을 말합니다. 베네치아 사람들이 인형극을 소재로 성모 마리아상을 사용한  데서 유래하였다지만 셰익스피어 또한 사람을 대신하여 배우로 마리오네트를 사용하였습니다. 16세기 이탈리아와 프랑스에서 본격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2. 마리오네트의 역사

(1) 고대부터 중세까지 마리오네트의 기원은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성경 이야기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되었습니다.

(2) 르네상스 시대의 마리오네트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라르테’(Commedia dell'arte) 공연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궁정 문화와 연극에서 마리오네트가 인기를 얻었습니다. 

(3) 현대 마리오네트의 발전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유럽과 미국에서 예술적인 공연 형태로 자리 잡았습니다. 체코,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전통 마리오네트 극장이 성행했습니다. 텔레비전과 영화에도 영향을 미쳐, 다양한 애니메이션과 인형극에서 사용됩니다.

 

3. 마리오네트의 종류와 특징

(1) 전통적인 마리오네트

나무로 제작된 인형으로, 실로 조종하는 방식 조작이 정교하며 현실적인 움직임을 연출 가능합니다. 유럽에서 마리오네트 연극은 르네상스 때부터 19세기에 걸쳐 인기를 끌었는데 18세기 실을 매달아 움직이는 방법을 찾아내기 전까지 나뭇개비나 철사를 인형의 머리에 붙여서 움직임을 주었습니다.

(2) 현대적인 마리오네트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 컴퓨터 그래픽(CG)과 결합하여 애니메이션, 영화 등에서도 활용합니다. 

(3) 마리오네트의 조종 방식

  • 직접 조작형: 공연자가 직접 줄을 당겨 조작하는 형태
  • 자동 기계형: 내부 기계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움직이는 방식

(4) 현재 마리오네트 형태

현재 마리오네트는 형태에 따라 3가지 종류로 구분됩니다. 

  • 시실리아 형: 시실리아 형 마리오네트는 작동하기 간단한 형태입니다. 시실리아 형은 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의 머리와 척추를 잇는 막대를 설치하고 인형의 손에 실을 연결하여 인형을 조종하지만 때로는 끈을 사용하여 입이나 움직이는 귀를 제어하기도 합니다.
  • 체코 형: 체코 프라하의 마리오네트는 시실리아 형과 비슷합니다. 프라하 형 역시 막대로 인형의 척추를 잇는 데 손과 발은 줄로 연결하여 인형을 조정할 수 있게 합니다. 종종 체코 형에서 입과 귀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인형 중앙에 막대 없이 머리와 어깨 등을 모두 줄로 연결한 형태도 체크 형의 마리오네트입니다. 이러한 형태들은 중앙에 막대가 없으므로 조정하기 가장 어려운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미얀마 형: 미얀만의 마리오네트는 움직임을 모두 줄을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미얀마는 마리오네트 군대가 유명한데 군대에는 27개의 캐릭터를 포함해야 합니다. 27개의 캐릭터에는 왕, 말고 코끼리, 호랑이, 앵무새와 같은 동물, 재상, 공주와 왕자, 광대들이 있습니다. 미얀마의 마리오네트는 매우 복잡한데, 남자 인형일 경우 18개, 여자 인형일 경우 19개의 줄을 사용하여 움직임을 조정합니다. 

4. 마리오네트의 현대적 활용

(1) 예술과 공연에서의 활용

뮤지컬, 연극, 오페라에서 사용 전통 마리오네트 극장은 체코, 오스트리아, 독일 등에서 여전히 인기

(2) 영화 및 애니메이션에서의 마리오네트

2004년 영화 ‘팀 아메리카: 월드 폴리스’에서 활용 ‘더 머펫 쇼(The Muppet Show)’ 같은 유명 TV 시리즈에도 영향을 줌

(3) 심리학 및 철학적 의미

인간의 자유 의지와 통제에 대한 상징으로 사용 철학적 관점에서 인간이 사회적 시스템에 의해 조종된다는 개념을 표현하는 도구

 

5. 마리오네트(Marionette) 만드는 법

마리오네트를 직접 만들어보는 것은 창의적인 작업이면서도 재미있는 과정입니다. 기본적인 마리오네트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와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필요한 재료

  • 몸체 제작: 나무 조각 또는 두꺼운 종이(카드보드), 천 조각 또는 펠트지(옷 제작용), 폼 클레이 또는 종이 점토(머리, 손, 발 제작), 플라스틱 구슬 또는 작은 나무 공(관절 연결용)
  • 조종 장치 제작: 나무 막대(젓가락, 나무 스틱), 실 또는 낚싯줄, 작은 나사나 핀
  • 기타 도구: 가위, 칼, 글루건 또는 목공용 접착제, 아크릴 물감 또는 색연필(장식용), 바늘과 실(천옷을 만들 경우)

(2) 마리오네트 제작 과정

  ① 머리와 몸통 만들기: 종이 점토나 폼 클레이를 이용해 머리를 만듭니다. 눈, 코, 입 등의 디테일을 조각한 후 건조합니다. 나무 조각을 사용해 몸통을 만듭니다(직사각형 형태가 일반적).

  ② 팔과 다리 제작: 작은 나무 막대나 폼 클레이로 팔과 다리를 만듭니다. 손과 발 부분은 추가적인 작은 조각을 붙여서 제작할 수 있습니다. 몸통과 팔·다리를 연결할 부분에 작은 구멍을 뚫고, 실이나 와이어를 이용해 조립합니다.

  ③ 관절 연결하기: 몸통과 팔·다리를 작은 나사나 낚싯줄로 연결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합니다. 연결 부분이 너무 뻑뻑하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와 장력을 조절합니다.

  ④ 조종 장치 만들기: 나무 막대 2개를 십자 형태로 붙여 조종기를 만듭니다. 실 또는 낚싯줄을 각 막대 끝에 고정합니다. 마리오네트의 머리, 손목, 무릎 부분에 실을 연결하여 조종할 수 있도록 합니다.

  ⑤ 디자인 및 꾸미기: 머리에 색을 칠하고 눈, 입 등을 그려 개성을 더합니다. 천이나 펠트지를 사용해 옷을 제작하여 붙입니다. 조종 줄 길이를 조절하여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조정합니다.

(3) 마리오네트 조종법

조종기를 잡고 실의 장력을 이용해 머리와 팔다리를 움직입니다. 기본적인 동작(걷기, 손 흔들기, 점프 등)을 연습합니다.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기 위해 줄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합니다.

 

* 마리오네트 만들기 팁

  • 초보자는 단순한 형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면 조종이 쉽습니다.
  • 줄의 길이를 균형 있게 조정해야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합니다.

6. 현대 마리오네트 예술가 

마리오네트 예술은 전통적인 인형극을 넘어 현대 예술에서도 독창적인 표현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활동 중인 유명한 마리오네트 예술가들을 소개합니다.

 

1) 필립 후버(Phillip Huber)

  •  대표작: 《Huber Marionettes》, 영화 《빙 휴먼(Being John Malkovich)》 필립 후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마리오네트 퍼포머로, 그의 정교한 인형 조작 기술은 영화와 공연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영화 《빙 휴먼(Being John Malkovich)》에서 마리오네트 조종을 담당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의 공연인 《Huber Marionettes》는 전 세계를 순회하며 고품격 마리오네트 예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 조셉 하디(Joseph Hardy) 

  • 현대적 마리오네트 공연 및 독립극장 운영 미국과 유럽에서 활동하는 마리오네트 예술가로 전통적인 기법과 현대적인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공연을 선보입니다. 특히 조명의 활용과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혁신적인 마리오네트 공연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3) 알렉산더 예콥슨(Alexander Jekic)

  • 유럽 마리오네트 극장 및 공연 예술가 체코와 독일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섬세한 조종 기술과 예술적인 마리오네트 제작으로 유명합니다. 전통 마리오네트 극장과 현대 퍼포먼스를 융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연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4) 알렌 루이스(Alexander "Sandy" Lewis)

  • 스토리 기반 마리오네트 공연, 클래식한 마리오네트 기법과 현대적 연출 기법을 혼합한 작품을 제작하며, 어린이와 성인 관객 모두에게 감동을 주는 공연을 선보입니다. 그의 공연은 캐릭터의 감정 표현과 스토리텔링이 뛰어나 마리오네트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현대 마리오네트 예술가들은 전통적인 방식뿐만 아니라 조명, 음악,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여 혁신적인 공연을 만들고 있습니다. 마리오네트는 단순한 인형극이 아니라 역사적, 예술적, 철학적 의미를 가진 중요한 문화적 요소입니다. 현대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며, 공연예술뿐만 아니라 영화, 심리학, 철학에서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마리오네트에 대한 더 깊은 관심이 있다면, 전통적인 공연을 직접 관람하거나 직접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 국내에도 망석중이라는 줄로 움직이는 인형이 있지만 서양의 마리오네트와 달리 높게 매단 몸을 통해 팔과 다리 쪽으로 줄을 꿰어 아래에서 당겨서 움직임만 있도록 한 것이라 섬세한 움직임은 어렵습니다. 이것은 서양의 마리오네트처럼 조종하는 인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림자인형극으로써 막에 비치는 그림자를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기회가 된다면 마리오네트만의 고유한 매력을 경험해 볼 것을 권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