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92 음식으로 만나는 문화와 예술(한국와 일본의 메밀 요리 비교) 음식은 일상에서 만나는 대표적인 문화와 예술입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의 전통 메밀 요리는 역사와 문화가 깊이 뿌리내린 풍부한 문화적 유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한국과 일본의 전통적인 메밀 요리인 냉면과 소바를 문화적 관점에서 비교해보고, 메밀전을 예술적 측면에서 새롭게 해석해볼까 합니다. 한국의 냉면과 일본의 소바 한국과 일본의 메밀국수를 비교해보라고 한다면, 개인적으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상은 국물의 온도 차이입니다. 여름의 시원한 냉면과 겨울에도 차갑게 즐겼던 막국수, 한국 메밀 요리의 대표적인 느낌입니다. 하지만 일본 소바의 경우 판모밀을 제외하고 우동처럼 따뜻하게 즐겼던 온면 형태의 메밀국수가 유달리 선명하게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메밀 요리가 전하는 상쾌한 매력과 일.. 2024. 1. 19. 삶에서 만나는 예술, 공공미술 이야기: (3) 다양한 공공미술의 언어들(김경민 작가, 대중과의 소통, 일상, 조각, 설치) 에너지가 충만되어 흥겹게 출근하는 회사원의 아침, 김경민 작가의 'Good-morning'이 재현하는 모습입니다. 김경민 작가의 작품은 부담없이 친근하면서도 편안하게 즐길 수 있어 사람들이 좋아하는 듯합니다. 이 모습이 미래에는 낯선 출근길 광경으로 변모할 수도 있지만, 아무튼 현재까지는 이 조각이 주는 친숙함이 그 자체로 '情'이라는 감정을 아련하게 불러일으킵니다. 보통 공공미술이라 일컫는 거리에서 만나는 예술작품들은 일상의 풍경 역시 다채롭게 변화시킵니다. 특히 건축 설계 단계부터 특정 일상 공간을 하나의 미술관으로 염두에 두는 공공미술은 그야말로 모든 것이 딱 들어맞는 유일한 어우러짐을 통해 지울 수 없는 인상적 기억을 선사하기도 합니다. 대중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거리의 예술작품들, 우리가 사는 세.. 2024. 1. 19. 삶에서 만나는 예술, 공공미술 이야기: (2)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의 공공미술 정책 대한민국 공공미술 정책은 지역의 문화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자발적인 지역 사회 참여를 통해 독특한 문화 경관을 조성하는 강력한 촉매제입니다. 이러한 공공미술 정책은 사회적 맥락 내에서 미술이 변혁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예컨대, 예술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는 단순한 공간 개선의 의미를 넘어 문화적 표현, 지역사회 참여, 국제적 인정을 위한 수단이 됩니다. 특히 공공미술과 문화생태계의 공생 관계는 도시 재생을 위한 중요한 허브로서 익숙한 도시 경관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지역 사회의 복지를 확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공공미술 정책의 취지와 관련해 도시 재생에 미친 공공미술의 다면적인 역할과 영향을 조명하고자 합니다. 1. 문화생태계 관점에서 바라본 대한민.. 2024. 1. 18. 삶에서 만나는 예술, 공공미술 이야기: (1) 공공미술의 기원 및 의의와 역할 전통적인 갤러리의 틀을 벗어나 일상 속에서도 창의성을 구현하는 공공미술(public art)은 공동의 공간에 미적이면서도 사유를 자극하는 표현을 접목함으로써 우리의 일상 자체를 풍요롭게 만듭니다. 우뚝 솟은 거대한 조각 작품에서부터 알록달록한 색채의 벽화까지 접근성이 좋은 이 야외 갤러리 작품들은 전 세계 다양한 사람들이 어울려 사는 수많은 공간과 때때로 특정 지역 사회에 문화적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공공미술의 기원과 발전, 그 의의와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와 예술 사이의 진화하는 관계를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공공미술의 역사 공공미술, 그 예술의 뿌리는 지도자, 전능한 신, 역사적 사건들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적인 건축물과 조각들이 세워졌던 고대 문명으로 거슬.. 2024. 1. 18. 일상에서 만나는 미디어 아트(media art) 다섯 번째: (5) 미디어 아트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들 미디어 아트는 사회 변화에 역동적인 분야로 종종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작품 감상 과정에서 몰입감 있고 인터랙티브한 환경이나 상황을 조성합니다. 미디어 아트에 사용되는 몇 가지 대표적 기술들 Projection Mapping(투영 매핑) 이 기술은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건물이나 조각 등 불규칙한 형상의 객체를 표시면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해당합니다. 예술가들은 투영을 물리적 구조에 정확하게 맞춰 조정함으로써 역동적이고 시각적으로 훌륭한 상황이나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미디어 아트에서 투영 매핑 기술은 보통 일반 객체를 동적 캔버스로 변환하는 대규모 설치 작품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아티스트들은 건물이나 조각, 심지어 전체 풍경에 동영상을 투영하여 감상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통해 매력적인 시각 .. 2024. 1. 17. 일상에서 즐기는 미디어 아트(media art) 네 번째: (4) 미디어 아트, 사회 문제와 만나다 미디어 아트, 사회 문제와 만나다 다양한 형태의 예술적 표현을 포함하며 다양한 분야로 진화하고 있는 미디어 아트는 해결이 시급한 사회문제에 참여해 현재의 시점에서 대중의 성찰을 독려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글에서는 미디어 아트라는 예술 분야가 어떻게 사회적 이슈와 연결될 수 있는지 환경 문제, 사회 정의, 디지털 혐오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눠, 그 구체적인 예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I. 환경 문제 기후 변화에서 생물 다양성 감소까지 환경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관심사이며, 언제부터인가 대중에게 심각한 우려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미디어 아트는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과 시급성을 알리며 환경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공감을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로 기능하기도 합니다. - 환경 관련 미디어 아트 .. 2024. 1. 17. 일상에서 즐기는 미디어 아트(media art) 세 번째: (3) 미디어 아트의 구체적 사례 소개 미디어 아트는 다양한 형식의 예술적 표현을 총망라하는 분야로 창조적 프로세스의 필수 요소로서 테크놀로지와 미디어 사용을 포함합니다. 학제적으로 이 분야는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 최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예술가에게 혁신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광대한 캔버스를 제공합니다. 미디어 아트가 창의적 표현을 위한 강력한 도구로써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 주목할 만한 몇몇 아티스트들의 활동과 작품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Interactive Installations) 인터랙티브 설치 작품의 예로는 랜덤 인터내셔널(Random International)의 'Rain Room'을 들 수 있습니다. 이 몰입형 설치 작품에서는 센서가 개인의 존재를 감지함으로써 감상자는 비에 젖지 않으면서 시뮬레이션을 통.. 2024. 1. 16. 일상에서 즐기는 미디어 아트(media art) 두 번째: (2) 일상에서 만나는 미디어 아트와 그 활용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미디어 아트를 만날까요? 디지털 시대 미디어 아트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아주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불과 수십 년 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교류하며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1. 일상에서 우연히 만나는 미디어 아트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부터 늦은 밤 잠자리에 들 때까지 미디어 아트는 우리 일상에 미묘한 영향을 미치면서 때때로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도 합니다. 아침 기상과 함께: 날씨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손을 뻗는 순간부터 손에 쥔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 우리는 역동적 배경과 대화형 위젯, 애니메이션 알림 형태의 다양한 미디어 아트를 만나게 됩니다. 증강현실을 활용한 앱은 기술과 예술적 요소가 적절하게 결합되어 주변 환경에 .. 2024. 1. 16. 일상에서 즐기는 미디어 아트(media art) 첫 번째: (1) 미디어 아트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전망 미디어 아트는 기술과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예술 표현을 포함하는 폭넓은 학제 간 분야입니다. 그 기원은 20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데, 당시예술가들은 새로운 미디어 기술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1. 미디어 아트의 발전 초기 실험 단계(1950~1960년대) : 미디어 아트의 뿌리는 새로운 기술이 가져올 가능성에 매료된 아티스트의 실험적 실천에 있습니다. 백남준(Nam June Paik)이나 볼프 보스텔(Wolf Vostell)과 같은 아티스트들은 TV와 같은 전자기기를 자신의 예술 작품에 접목하여 기술과 문화의 관계를 새롭게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비디오 아트 단계(1960~1970년대) : 1960년대 휴대용 비디오 기기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예술가들은 비디오 매체를.. 2024. 1. 15. '포지티브스페이스566' 속 미디어 아트(김포에 위치한 주차 걱정 없는 카페, 기네스북 등재, 대형 카페, 미디어 아트) 1. 포지티브스페이스566 포지티브스페이스566은 2023년 2190석이라는 세계 최대 카페 규모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대형 카페이다. 김포에 위치하고 있으며, Positive+Space+566라는 카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좋은 것을 먹고 마시고 즐기면서 기분이 좋아지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물론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것이 이 카페 공간이 주는 긍정에너지의 가장 밑바탕이겠지만 말이다. 이 카페를 찾아가는 초행길이라면 주차장 입구와 출구 표지판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주차장은 지하주차장과 야외주차장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건물 왼편의 입구로 들어설 경우 오른쪽으로 가면 지하주차장, 왼쪽으로 가면 야외주차장에 주차를 할 수 있다. 출구의 경우 교회주차장을 일부 경.. 2024. 1. 14. 이전 1 ··· 36 37 38 39 40 다음 반응형